NIFI UI
- Components Toolbar: process, processgroup, template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이후 drag and drop 방식으로 canvas에 components toolbar에 존재하는것들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.
- StatusBar: 현재 process 진행 상황에 대한 UI입니다.
- GlobalMenu: nifi 전역에 대한 설정들이 존재합니다.
- Search: 주로 process, processgroup에 대해 검색가능합니다.
- Operator Palatte: process, processGroup에 대해 시작 및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NIFI connection
해당 사진에서 색깔박스는 process끼리 연결했을때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각 process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queue형태로 전달하며 buffer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.
- Back Pressure Object Threshold: queue의 flowfile의 허용범위를 설정합니다. 만약 해당 사진처럼 설정한다면 10000개가 넘어버리면 더이상 queue에 flowfile을 담지 못합니다.
- Size Threshold: queue의 사이즈를 설정합니다. 만약 사진처럼 1GB로 설정한다면 1GB이상의 flowfile을 queue(connection)에 담지 못합니다.
- Avaiable Prioritizers: connection queue에서의 우선순위 알고리즘을 제공합니다.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적용한 방법데로 queue에서 flowfile이 빠져나가게 됩니다.
NIFI Template
사진을 보면 한 processgroup에 process들이 여러개 배치되어 있고 잘 연결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것을 템플릿으로 만들기 위해서는
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신이 만든 data flow를 template으로 재작할 수 있습니다. 현재 template을 만들게 되면 xml파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후 위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저장된 template(아까 만들었던 template)을 들고올 수 있습니다. 그러면 이전에 만들었던 data flow를 다시 볼 수 있습니다.
추가적으로 위의 아이콘을 통해 github이나 다른 외부에서 받은 template(xml파일)을 자신의 template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. 이후 (add template)아이콘으로 해당 template을 들고와 외부에서 들고온 template을 자신의 dataflow로 들고 올 수 있습니다.
'data > nif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iFi] jdk 11 에서의 트러블 슈팅 및 메일을 보내다 (0) | 2022.10.25 |
---|---|
[NiFi] NiFi-Registry란?(NiFi와 Https 연동) (0) | 2022.09.02 |
[NiFi] NiFi란? (0) | 2022.08.11 |